이번 포스팅에서는 공군 장교 특기 중 하나인 운항관제 특기 선발절차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선발절차, TO,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세부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1. 운항관제장교 선발절차
운항관제 장교의 선발절차는 위 그림과 같습니다. 다른 특기와 동일합니다. 참고로 2021년부터 운항관제 장교 특기 선발 방식이 변경됐습니다. 기존에는 항공종사자 신체검사를 합격한 인원 중 공인어학성적이 높은 순으로 선발했지만, 이제는 항공종사자 신체검사 합격자 중 관련 자격증 및 학과 출신자들을 중심으로 선발하게 됩니다. 신체검사의 경우 기본군사훈련 기간 중 지원자에 한해 검사를 실시하고, 특기교육 기간 중 합불 여부가 발표됩니다. 기본군사훈련 학과 중 반나절 정도를 빠지게 되고, 야간학과로 보충하게 됩니다.
2. 운항관제장교 선발조건
자격증의 경우 특기별로 반영되는 자격증을 최대 3개까지 인정해 점수를 계산합니다. 운항관제 특기가 반영하는 자격증은 항공교통관제사, 항공운항관리사, 항공영어구술능력평가(EPTA),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 항공무선통신사 등이 있습니다. 전공은 항공교통업무 관련 학과들을 우대하고 있습니다.
공군 모집의 특기 분류 관련 안내 내용을 보면,자격증이 2순위이고 전공이 3순위인데, 자격증의 중요도가 훨씬 더 높습니다. 특기 분류 시스템 상 자격증 점수가 배점이 훨씬 더 높기 때문입니다. 전공은 자격증 점수가 동점일 때 활용될 수 있는 요소 정도로 큰 의미가 없는 편입니다.
반영 자격증을 살펴보면 항공교통관제사와 항공운항관리사는 항공교통관제 전문교육원에서 정식 과정을 이수해야만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으로, 취득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 외 자격증들의 경우 취득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운항관제 특기를 노려보는 분들이라면 저 자격증들을 집중 공략하시길 바랍니다.
구체적인 반영 자격증과 전공이 궁금하시다면, 제가 작성한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3. 운항관제장교 선발 TO
운항관제 조직 자체가 크지 않아 선발하는 인원도 매우 적은 편입니다. 제가 임관했던 시기 즈음까지만 하더라도 한 기수에 2~3명 내외로 선발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규모가 커지며 5명 수준까지의 인원들을 선발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모든 특기가 그렇지만, TO는 특기 선발시점 즈음의 시기에 정해지는 사항이기 때문에, 매 해마다 변동될 수 있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4. 운항관제장교 교육과정
운항관제 특기의 최대 장점인데, 운항관제 장교 특기교육은 ‘항공교통관제사 전문교육과정’입니다. 따라서 운항관제 특기를 받게 될 경우, 16주간 항공교통관제업무에 대해 교육받게 됩니다. 초급 교육기간이 전 특기에서 가장 긴 편입니다. 평균적으로 특기교육기간이 4주~6주 정도인데, 그보다 3배 정도 긴 교육 기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특기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 특기교육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공식 항공교통관제사 과정입니다.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 응시요건을 갖출 수 있는 인증된 과정으로, 노력할 경우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관제사에 관심 있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항공교통관제사가 되는 방법은 굉장히 한정적인 편입니다. 관제사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의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이 있어야 하는데, 이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선 국가가 지정한 ‘전문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해야 응시 자격이 생깁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이 전문교육기관은 국내에 총 4개입니다. 한국항공대, 한서대, 항공기술훈련원, 그리고 마지막이 공군 교육사령부입니다.
공군 교육사령부에서 운항관제 장교로 임관해 특기교육과정을 거치면 항공교통관제사 응시자격이 생기는 것입니다. 무료로 항공교통관제사가 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귀한 기회이고 파격적인 메리트라고 생각합니다.
운항관제 특기초급과정을 정상적으로 이수하면 군(軍)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이 발급됩니다. 군용 관제시설에서 일정 기간의 근무자격 교육을 받은 뒤 군용기 관제를 할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 운항관제 장교도 관제시설에서 직접 항공관제 지시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추천
공군장교 운항관제 특기 소개 : 임무, 소속, 하는일, 직책별업무, 운영계장, 관제중대장, 운항중대장, 운항관제대장